티스토리 뷰
빚이 있어도 괜찮다, 지금부터 시작하는 부채 탈출 전략
부채가 있다고 재테크를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수입보다 ‘구조’이고, 희망보다 ‘실행’입니다.
이 글에서는 현실적인 채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재정 리셋 전략을 소개합니다. 부채 정리 순서, 통장 구조화, 습관 개선, 재무 회복을 위한 단계별 행동 계획을 안내합니다.
부채가 끝은 아니다, 오히려 시작이다
빚이 있는 상태에서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건 어렵습니다. 남들에게는 말 못하고, 통장 잔고는 불안정하고, 월급이 들어와도 곧 사라지죠. 점점 ‘포기하고 싶다’는 마음이 들지만, 그럴수록 중요한 건 지금 이 순간을 ‘재정 리셋의 출발점’으로 삼는 것입니다.
부채는 절망이 아니라 재무구조를 다시 설계할 기회입니다. 실제로 많은 재테크 성공자들이 처음엔 마이너스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을 구한 것은 복잡한 투자 전략이 아닌 ‘지극히 기본적인 돈의 흐름 통제’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빚이 있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수입이 적어도, 상황이 답답해도, 지금부터 하나씩 실천할 수 있습니다.
부채 탈출을 위한 6단계 재무 리셋 전략
1. **부채 전체 현황 시각화부터 시작하라**
- 빚의 총액, 이자율, 월 상환액, 상환 기간 정리
- 예: 카드론 400만 원(연 14%) / 학자금대출 800만 원(연 2.5%)
- 모든 부채를 엑셀/노션/수첩에 나열 → ‘숫자’를 정확히 인식해야 전략이 생김
2. **고금리부터 갚는 ‘눈덩이 방식’ or ‘쏘는 방식’ 설정**
- 눈덩이 방식: 작은 빚부터 갚아 성취감 확보
- 쏘는 방식: 이자율 높은 것부터 집중 상환 → 상황에 따라 병행도 가능, 핵심은 **우선순위 설정**
3. **통장 3개로 재정 구조 최소화**
① 수입 통장 → 월급 입금, 자동 분배
② 고정지출 통장 → 대출 상환 포함 자동이체
③ 생존비 통장 → 최소한의 생활비만 설정 → 소비 유혹 차단, 상환 지속력 확보
4. **월 지출 내역 최소 3개월치 회고하기**
- 비정기지출, 감정소비, 자동결제 파악
- 필요 없는 구독, 보험, 중복 서비스 즉시 정리 → 고정비 줄이기 = 상환 여력 확보의 시작
5. **부업 또는 추가 수입원 설정하기**
- 주말 알바, 콘텐츠 판매, 글쓰기, 과외, 번역 등
- 월 10만 원 추가 수입 = 연 120만 원 이자 줄일 기회
- 노동보다 구조 만들기: 쿠팡플렉스, 설문 앱 등도 활용 가능
6. **재정 회복 시점 목표 설정 + 기록 루틴**
- 예: “2025년 6월까지 카드론 완납”
- 매월 ‘부채 그래프’ 시각화 + 체크표 작성
- 회복을 체감해야 포기하지 않고 지속 가능
7. **보너스 전략**
- 이자율 협상 시도: 카드사/금융사에 전화로 이자율 인하 요청
- 햇살론·새희망홀씨 등 저금리 대환상품 검토
- 금융복지상담센터(서민금융진흥원) 무료 상담 활용
부채는 지워야 할 흑역사가 아니라, 다듬어야 할 과정이다
지금 빚이 있다고 해서 인생이 끝나는 건 아닙니다. 중요한 건 **도망치지 않고 마주보는 것**, 그리고 **작게라도 실천하는 것**입니다. 어떤 부채든 정확히 파악하고, 상환 구조를 만들고, 생활을 간소화하며, 수입을 조금만 늘려도 충분히 탈출 가능합니다.
돈은 감정이 아니라 숫자입니다. 숫자는 구조화하면 통제할 수 있고, 통제하면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 엑셀 한 칸에 당신의 부채를 써보세요. 그 한 칸이, 부채 탈출의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